사각형 종이라는 대지위에
살아가는 점과 점을 이은
미로속에서 드러나는 글자들, 자연 표현.
추사는 김정희(1786-1856)의 호로, 한국의 대표 서예가이자 금석학자, 고증학자, 화가, 실학자입니다. 의미없이 부유하던 점과 점을 이어, 팔괘와 태극으로 이루어지는 자연의 이음새를 표현, 추사의 가치관을 나타내고자 했습니다.
조선 후기 사회, 문화의 붕괴와 대아 大我 의 상실에 대해 안타까워하던 추사는 관념과 현실의 조화 (한송절충론)를 통해 본래 유학의 가치를 재생, 현실화하고자 했습니다. 이러한 추사의 첫 전시관은 성균관 대사성이자 유교학자로 불교, 도교에도 관심을 가졌던 그의 경학관 經學館 으로 구성, 심볼을 디자인했습니다.
문장 文 과 도 道 는 서로를 필요로 한다고 (문도상수론) 생각했던 추사는 글로 이루어지는 시 詩, 서 書 그리고 화 畵 가 각 매체별 한계를 넘어서야 한다고 생각했고, 그 경지는 자연이라고 생각했습니다. 곧 자연이라는 도 道 가 목표이자 근본이기에 추사의 두번째 전시관은 문예관 文藝館 으로 구성, 심볼을 디자인했습니다.
자연의 생성과 조화, 이치에 대한
고대 중국의 낙서 洛書
낙서 洛書 를 토대로 고대 중국의 문왕이
남긴 후천팔괘 後天八卦
자연의 도를 그린 낙서洛書,
팔괘도와 서예의 보조선 반영
난을 치기 위해선 문장의 향기, 서책의 기운이 있어야 한다고 (문자향 서권기) 했던 추사는, 기교에 능했던 세속 장인들보다는 마음속에 오천자의 글이 쌓여야 붓을 들 수 있다고 했습니다. 이는 곧, 정신을 전하는 것을 의미하는 기운생동 氣韻生動 에 대한 역설이기도 했습니다. 추사의 세번째 전시관은 이러한 것을 토대로 화론관 畵論館 을 구성, 심볼을 디자인했습니다.
분열과 조화의 태극이 갖는 기운 (좌)과
서책 제목의 공간인 어미 魚尾 (우) 반영
추사체로 잘 알려진 추사는 서예의 큰 두줄기였던 남조의 가지런함과 북조의 파격성을 절충하며 기존의 법과 그 법의 자유로운 운용을 중시했습니다. 그러한 자유성은 곧 작가의 정신과 노력에 의한 깨달음이라고 생각했습니다. 추사의 마지막 전시관은 문예와 화론, 서예를 관통하는 자유성, 정신, 깨달음이 집약된 서예관 書藝館 을 구성, 심볼을 디자인했습니다.
자연의 생성과 조화를 상징하는 팔괘 (전통)의
적층과 글자의 보조선 (형식)위에서 자유롭게
살아가며 변화해가는 팔쾌 반영
사각형 종이라는 대지위에
살아가는 점과 점을 이은
미로속에서 드러나는 글자들, 자연 표현.
낙관 적색 朱
#A72325
대지색 垈地
#855A26
미감색 美紺
#385873
깊은 백자색
深白磁
#c1b496
깊은 대지색
深垈地
#423836
호분색 胡粉
#FFFFFF
서체는 명조체로 대표되는 통상적인 전통의 이미지에 얽매이기 보다는 그 서체의 근본인 한문의 해서체를 벗어나 그 이전 예서체의 본질성을 추구했던 추사를 생각해 서울남산체 세로형을 선택했습니다. 이는 예서체의 수평수직성과 추사체에서 보이는 가로지르며 부분적 곡선이 보이는 조화가 서울남산체의 특성과도 닿는 부분이 있다고 보았기 때문입니다.